가와사키병에서 정맥용 면역글로블린 치료 전 후의 IgG Inhibitory Protective Receptor(FcRp, CD14+CD16+) 변화

가와사키병에서 정맥용 면역글로블린 치료 전 후의 IgG Inhibitory Protective Receptor(FcRp, CD14+CD16+) 변화

The Subpopulation Level of IgG Inhibitory Protective Receptor (FcRp, CD14+CD16+) Monocyte before and after IVIG Treatment in Kawasaki Disease

(구연):
Release Date : 2009. 10. 24(토)
Ji-Hye Shin¹, Sang-Yun Lee³, Eun-Kyung Cho², Hong-Hee Choi², Hong-Ryang Kil¹
Department of Pediatrics¹, Department of Microbiology², School of Medicine, Chungnam National University, Daejeon, Department of Pediatrics, College of Medicine, Seoul National University, Seoul³, Korea
신지혜¹, 이상윤³, 조은경², 최홍희², 길홍량¹
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소아과학교실¹, 미생물학교실²,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과³

Abstract

b>서론/b>:정맥용 면역글로불린(IVIG)은 가와사키병 환자의 관상동맥합병증을 줄이는데 효과적이지만 그 기전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다. IVIG로 치료받은 가와사키병 환자의 10-20%에서 발열이 지속되거나 다시 발열이 발생하며 이런 환자들은 관상동맥합병증의 위험도가 높아진다. 혈청 IgG의 반감기는 Inhibitory protective Fc receptor(FcγRIII, CD14+CD16+)와 inhibitory Fc receptor (FcγRIIB, CD14+CD32+)의 농도에 따라 변화한다. CD14+CD16+monocyte의 아형은 IVIG치료반응과 관상동맥합병증의 발생에 관여 될 수 있다. 저자들은IgG 반감기를 고려하여 IVIG 치료 전, 후의 혈중IgG치와 FcγRIII의 발현정도를 평가하여 IVIG 반응도 혹은 관상동맥병변의 위험도 예측에 이용하고자 하였다. b>대상/b>: 2008년 1월부터 2009년 7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가와사키병으로 진단 후 면역글로불린으로 치료받은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. b>방법/b>: 가와사키병의 각 시기별로IVIG 치료 전, 치료 1일 후, 치료 1개월 후 FcγRIII 를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. 대조군으로는 비슷한 연령과 성별의 10명으로 하였다. 면역글로블린 치료는 2g/kg, 1일간 하였으며 치료 개시 후 48시간 이상 발열이 지속되거나 해열 후 다시 38℃ 이상 오르는 경우 1g/kg으로 재치료 하였다. 관상동맥합병증은 The Japanes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에서 정한 기준에 합당한 환자로 하였다. b>결과/b>: 조사대상자의 평균나이는 30.11±20.39개월이며, 남아는 16명, 여아는 18명이었고 IVIG치료반응군은 27명이며, 재치료군은 7명이었다. IVIG치료전 CD14+monocyte중 CD14+16+monocyte퍼센트의 평균값은 2.89%로 대조군 0.38% 보다 높았다(p value 0.05). 치료 1개월 후에는 0.43%로 치료전 보다 의미있게 낮아졌고(p value 0.05), 이는 대조군과는 차이가 없는 값이었다. 치료 1일후에는 2.51%로 치료 전 값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(p value > 0.05). IVIG치료반응군(2.08%)에 비해 불응군(1.32%)의 평균값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(p 0.05).관상동맥합병증이 있는 환자는 없었다. b>결론/b>: 가와사키병 환자에서 IVIG 불응군을 예츣하는데 있어서 FcγRIII가 유용하며 향후 관상동맥합병증과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.

Keywords: Kawasaki Disease, IgG Inhibitory Protective Receptor,